최근 innodb buffer pool 설정 관련해서 찾아보다가 알게된 사실입니다. MriaDB 10.5 변경사항에 innoDB 성능 항샹 내용 중 Multiple buffer pool Remove가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봤을때 멀티로 동작하는게 무조건 성능이 좋다고 생각이 드는데, 지운 이유가 무엇일까요? 궁금해서 조금 찾아봤습니다. innodb_buffer_pool_instances 변수 설명을 확인해보니, 10.5.1부터 해당 변수의 값이 비활성화되고 10.6.0부터 제거되었습니다. 제거된 이유는 단 한줄로 표시하였네요. 버퍼 풀을 분할하는 본래의 이유가 사라졌다. 왜인지 이유는 자세하게 설명을 안해주네요.. 궁금하게 참... 먼저 multiple buffer pool을 사용하는 이유 부터 알..

밀리세컨드 저장이 안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하나입니다. "데이터베이스 버전 문제" MySQL은 5.6.4부터, MariaDB는 5.3부터 밀리세컨드/마이크로세컨드 단위를 지원합니다. MariaDB의 경우, 호환성을 위해 10.1.2 버전부터 MySQL과 동일한 포맷 및 변수를 사용합니다. mariadb.com/kb/en/server-system-variables/#mysql56_temporal_format 그러나, 버전이 지원함에도 불구하고 Spring boot 설정 문제로 인하여 밀리세컨드 저장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DB에 직접 쿼리를 실행하면 밀리세컨드가 저장 되지만, JDBC를 통해서 저장하게되면 밀리세컨드가 저장되지 않는 아주 난감한 상황게 빠지게 되죠. 저장이 안되는 이유는 크..
- Total
- Today
- Yesterday
- 구글 드라이브 개발
- 후지필름 일렉트로닉
- 링크드리스트
- X100v
- ssd성능
- 리스트
- 리스트 소스 코드
- C
- 구글 드라이브 API
- 샌디스크ssd
- 리스트 클래스
- 삼성ssd
- 후지필름X100V
- 후지필름
- SDK
- SSD
- ssd비교
- 구글 드라이브
- 링크드리스트 클래스
- C++
- Google Drive SDK
- ssd추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